목적
- 영아: 기질, 불안/위축, 부주의, 과잉행동, 공격성, 상동행동, 사회적 상호작용문제 등 영아기에 나타날 수 있는 정서 혹은 행동문제를 조기 판별
- 유아: 기질, 불안/위축, 부주의, 과잉행동, 공격성, 상동행동, 언어-의사소통문제, 또래-상호작용문제, 폰과몰입 등 유아기에 나타날 수 있는 정서 혹은 행동문제를 조기 판별
- 정서 혹은 행동문제의 조기판별 기능
- 정서행동문제 영역에 대한 구체적인 양육 혹은 교육 정보를 제공
대상
- 6개월 ∼ 30개월 미만의 영아
- 30개월~ 취학전의 유아
평가항목
- 영아: 신뢰도 척도 1개와 내면화증후군(2개 척도), 외현화증후군(3개척도), 이상발달증후군(2개척도) 등 8개 척도, 55문항
- 유아: 신뢰도 척도 1개와 내면화증후군(2개 척도), 외현화증후군(3개척도), 이상발달증후군(3개척도), 폰과몰입 등 10개 척도로 구성, 65문항
유의사항
- 검사의 문항은 평가자의 직접적인 관찰과 판단에 의해 평정하도록 되어 있으므로, 영유아의 발달과정을 상세히 알고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이 중요
- 검사대상의 행동 수행 여부를 잘 모를 경우에는 검사를 중단하고, 그 문항의 행동을 직접 관찰한 후에 평가
- 각 문항을 자세히 읽고 영아/유아가 평소 보이는 행동의 발생빈도에 따라 체크
- 거의 발견하지 못한 경우(약 10%미만, 거의 아님)
- 가끔 발견할 경우(약 30%정도, 가끔)
- 빈번히 발견할 경우(약 70%정도, 자주)
- 늘 일관성 있게 발견할 경우(약 90%이상, 거의 항상)
특징 및 장점
- 누구든지 어디서든 쉽고 편리하게 영유아의 정서행동 문제 파악
- 현재 정서행동 문제 영역에 대한 구체적인 양육 정보를 제공
- 신호등 해석법을 통해 쉽게 이해 가능
필요한 이유
첫 번째, 아이의 감정 이해와 표현,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을 알 수 있어요.
두 번째, 발달 지연이나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대응할 수 있어요.
세 번째, 부모와 자녀 간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돕고 연결성을 개선할 수 있어요.
네 번째, 아이마다 다른 특성과 요구에 맞춰 평가하고 지원받을 수 있어요.
다섯 번째, 전문가와 함께 결과를 분석하고 필요한 추가 지원 및 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요.
영유아정서행동검사는 아이의 감정, 사회적 기술 평가와 문제 예방, 부모-자녀 관계 개선, 개인화된 접근 및 전문가와 협력/지원에 도움을 주는 중요한 도구입니다.